땅딛고 하늘보며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그러지 않으면 하늘이 나를 찾으실 테니까!

나는 어제도 오늘도 그리고 그다음날도 나의 길을 가야한다.

호모 로퀜스Homo Loquens/개념& 신조어

후크

영강풍음 2021. 7. 18. 02:48

한 손이 갈고리(hook)라 후크 선장, 또는 제임스 후크라 불린다. 여기에서 음악 특히 힙합에서 훜, 후크라는 신조어가 만들어 졌다.

 

노래에서 귀에 '걸리는' 부분을 한다. 주로 힙합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며 대중가요에서도 '중독적이고 강렬한 후렴구'를 표현할때 훅이란 말을 쓴다. '청자를 사로잡는 짤막한 음악 구절'을 뜻하는 대중음악용어 'hook'와 'song'이 결합된 한국에서 만들어진, 신조어.

영어로는 'kitsch song' 또는 'kitsch music'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노래에 중독성이 있다는 의미로 'An earworm into my head' 라는 표현이 있다. 노래가 너무 중독적이라 꼭 머리속에 애벌레가 기어다니는 느낌이래나(...).

상술하였듯 Hook이라는 단어는 '청자를 사로잡는 짤막한 음악 구절'로 특정한 가사의 반복[1]이나 강렬한 연주부분[2]등 그 형식을 가리지 않고, 애초부터 장르를 가리지 않고 쓰이던 말이다.

청자에게 강렬함을 준다는 특성상 POP음악과 의외로 록 음악[3]에서 주로 쓰이는 작법이다. 실제로 초창기의 로큰롤이나 팝 블루스, 심지어 소울의 명곡중에는 Hook를 남발하는 경우가 많고 아래의 비판들과 정확히 같은 비판들[4]을 받아왔다는 것이 재미있는 점.[5]

이전부터 있던 용어지만 Hook이라는 단어를 알리는 데 공헌한 것[6] 힙합으로, 힙합에서는 가사 - Hook - 가사 - Hook - 가사(혹은 Bridge 라고 해서 Hook 을 약간 변형하거나 1~2 구절이 반복되는 가사) - Hook 같은 형태로 가게 되었다. 이 원래 Hook은 힙합의 초창기에는 단순히 쉬어가는 부분이었으나(아주 초창기에는 B-boy들이 춤을 추는 부분이거나 DJ들이 주로 DJing을 하는 부분이었다.)힙합이 녹음되기 시작한 이후 곡의 주 메시지를 축약하는 형태로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단순한 랩으로 계속된 곡보다는 아무래도 Hook 부분에 보컬을 넣는 것이 듣기에도 좋았기 때문에, Hook에 보컬을 넣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후 이 부분을 거의 Chorus라고 부르게 되었다) 혹은 Hook을 아예 2번 해서 한번은 랩 부분, 한번은 보컬 부분으로 하는 부분까지 가게 된다.

힙합이 미국 대중음악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면서 같은 흑인음악인 R&B와의 결합도 강하게 되는데, 힙합임에도 R&B 보컬 방식을 채용한다든가, 아니면 아예 힙합비트에 R&B를 부른다거나 하는 식으로 점점 R&B에서도 이러한 단순 반복 구성이 지속된다. (알 켈리의 Imma flirt나 어셔의 Yeah가 대표적) 여기에 전자음이 대세가 되기 시작하면서 신디사이저의 전자음을 이용한 반복성 음악이 나오게 되는데 이 것이 한국에서는 한국 대중음악과 결합, 소위 후크송이 되었다. 

즉 한국에서는 '단순 반복적으로 들리는 멜로디라인과 역시 반복되는 후렴구' 등으로 구성된 곡들을 뜻하며, 곡의 작법중 하나이지만 한국에서 유난히 많았기 때문에 후크송이라는 아예 새로운 장르로 취급되고 있다. 물론 출신이 엄연히 흑인 음악 쪽에서 내려왔기 때문에 YG나 JYP가 이쪽 분야에 강하다. SM도 외부 작곡가의 곡을 산다든가 (Gee) 아니면 유영진의 변신 (Sorry, Sorry) 으로 어느 정도 내놓는 편. 

'한마디로 후렴구가 곡의 비중에서 무지막지하게 높은 노래' 라고 정의할 수 있다.

풀어서 정의하면 후렴구(Chorus) 안에 청자의 각인을 유도하는 반복적인 구절(Hook)이 핵심적 요소가 되는 형태의 곡이라고 볼 수 있다.

간혹 후크송에 대해 옹호하는 논지 중 하나로 '후렴구에 훅이 없는 명곡이 있느냐, 비틀즈 노래도 강렬한 훅이 있다.' 같은 소리를 하는 경우 (참고)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훅 자체가 강렬하면서도 수준이 높을 뿐이지 후크송으로 분류하기는 무리가 있다. 실제로 비틀즈 노래를 보면 코러스만이 아니라 벌스, 브릿지 등 모든 부분의 멜로디가 곡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보면 그 차이는 확연하게 드러난다.

또 하나의 예로 러블리즈 아츄 같은 경우 후렴구에 Hook 요소가 있지만 곡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아 후크송으로 보기 어려우며, 모모랜드 뿜뿜의 경우 곡 전체의 리듬과 후렴구 전체 비중이 Hook 요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후크송으로 볼 수 있다.

정리하자면, 대개 최근의 주류 가요들에서 흔히 보이는 '주입적인 중독성'[7]이 발견되느냐의 여부가 후크송이냐를 가르지, 강렬한 후렴구의 존재 여부만을 가지고 후크성 여부는 따지지 않는다. 

한편 후크송이 장기적으로 득세하면서 노래 가사에 별 의미조차 없이 '후크만 있는' 곡도 등장하고 있고, 이 때문에 가사는 초현실주의를 연상케 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제국의아이들의 'Mazeltov'나 티아라의 'YA YA YA' 등이 '알아들을 수 없는 노래'로 비판받은 대표적인 예. 때문에 버스커버스커의 곡이 히트를 치는 계기가 되었다.

사실 후크송이 가장 단단한 쪽은 미국이다. 미국 빌보드의 상위권을 잊을만하면 차지하는 강남스타일이나, Silento-Watch Me,Harlem Shake같은 후크송은 미국의 파티문화와 연결되어있는 전형적인 파티음악이다. 곡을 자세히 듣기보단 클럽, 파티장소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틀어놓고 즐기는걸 좋아하는 미국인들의 특성과 연결되는 것. 

단순한 주요 멜로디가 반복되는 중독성 있는 곡이 후크송이라고 할때, 그 후크송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미국의 재즈 조상 래그타임 음악 중에 12th street rag 가 가장 대표적인 후크송의 조상격 노래라고 할 수 있다. Euday L. Bowman 가 작곡 했으며 주요 멜로디를 3가지 음의 반복만으로 작곡 한것으로 유명했는데, 그가 작곡한 시기 당시에는 그가 만든 음악 악보를 팔러 음악출판사에게 찾아갔지만, 이렇게 단순하고 반복적인 음악은 발행 가치가 없는 음악이라고 평가 받고 10$ 를 제시 받았다. 하지만 결국 나중에는 엄청나게 유행한 노래가 되어서 스탠다드 넘버가 되어버렸다.

'호모 로퀜스Homo Loquens > 개념& 신조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파(秋波)의 유래  (0) 2021.07.20
미닝 아웃(Meaning-out)  (0) 2021.07.19
글로벌 고유어가 되는 K-슬랭어들  (0) 2021.07.17
카오스모스  (0) 2021.07.15
그로테스크(grotesque)란?  (0) 2021.07.14